전체 글 47

[CS / 네트워크] TCP/IP 4계층 1

1. 개념TCP/IP(TC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을 포함한 대부분의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이다. TCP/IP는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이고 신뢰성있게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프로토콜)과 절차를 정의한다. 2. TCP/IP 4계층 - 네, 인, 전, 응1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Network Interface Layer) - 역할 :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주로 하드웨어 수준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이더넷, Wi-Fi 등의 기술이 이 계층에서 작동한다. - 프로토콜 : 이더넷,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 등 - 기능 : 물리적인 전송 매체(예 : 케이블, 무선)를 통해 데이터 프레..

카테고리 없음 2024.09.03

[좋은 PM에 관하여] ep08. 인하우스 기획자 vs 에이전시 기획자

기획자가 일하게 될 회사 유형은 인하우스와 에이전시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유형마다 일하는 방식이 크게 다르다. 어떤 회사에서 첫 커리어를 시작하느냐에 따라 향후 커리어가 갈릴 수 있으니, 본인 성향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번에는 인하우스 기획자와 에이전시 기획자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인하우스 기획자 먼저 인하우스는 내부에서 직접 서비스를 만들어 운영하는 방식을 가진 회사다. 배달의 민족, 토스 등 우리가 아는 왠만한 웹/앱 서비스들은 인하우스 기업으로 내부에서 직접 서비스를 만들어 운영한다. 인하우스는 내부에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획팀, 디자인팀, 개발팀이 있고 각 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서비스를 성장시켜 나간다. 인하우스 기획자는 서비..

카테고리 없음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7. 서비스 기획의 범위

지금까지 사업과 비즈니스에 대해 얘기했다면 이제부터는 기획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기획이라는 단어는 어디에 붙여도 이상하지 않다.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기획자를 꿈꾼다. 그만큼 보편화되어있고 장벽이 낮다. 서비스 기획자로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라도 우리가 하는 일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 서비스 기획의 범위서비스 기획이라는 말은 참 애매하다. 기업 채용공고를 들여다 보면 정체성의 혼란이 오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어떤 회사는 서비스의 화면 설계만 해주길 원하는 곳이 있는 반면 어떤 회사는 신규 상품 기획이나 서비스 기획자 대신 더 넓은 의미를 가진 PM(Product manager), PO(Product Owner)와 같은 서비스 총괄 책..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6. 실패한 제품(서비스)의 근본적인 원인

⚠오늘은 할말이 많아서 좀 깁니다. 자. 이제 제품 얘기를 해보도록 하자. 성공한 제품을 알아보기 전에 어떻게 하면 실패하는가?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다. 나는 어떤 규모이건, 어느 지역에 있건, 거의 모든 회사가 같은 방식으로 일하고 있음을 관찰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실제로 최고의 회사가 일하는 방식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언급할 수 밖에 없다. 이 글을 쓰는 와중에도, 나는 무기력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글을 읽는 당신도 어느 포인트에서 정곡이 찔려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환부를 드러내고 마데카솔을 발라야 병이 낫듯, 이것도 잘되기 위한 과정 중 하나이니, 잘 참고 견뎌내길 바란다. 아래 그림은 우리 회사가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그리고 대부분의 회사가 사용하고 있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다...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5. 끊임 없는 제품 혁신

자, 이제 스타트업을 지나 영속하는 비즈니스를 만들기 원하는 기업들도 여전히 힘든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 강한 기술 제품 회사는 끊임없는 제품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현재 고객과 비즈니스를 위해 지속해서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제품을 단순히 수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이런 것을 가치 확보라 한다.) 대신에 각 제품이 가진 잠재성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해 개발해야 한다. 많은 대기업은 이미 죽음의 소용돌이로 빠져든 상태다. 몇 년 혹은 심지어 수십 년 전에 만들었던 가치와 브랜드를 이용하는 것에만 의존하고 있다. 큰 기업은 하루아침에 망하는 경우가 드물고 몇 년 동안은 버틸 수 있다. 그렇다고 착각하지 마라. 조직은 가라앉고 있으며, 그 결과는 불 보듯 뻔할 것이다. ..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4. 성공을 위한 확장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회사에 대한 얘기, 그 중에서도 스타트업에 대한 얘기를 조금 더 해보려고 한다. 충분한 역량과 운을 바탕으로 마침내 제품/시장 궁합을 달성한 스타트업들은 지금까지만큼이나 어려운 도전 상황을 이겨 낼 준비를 해야 한다. 바로 어떻게 효과적으로 성장하고 확장해 나갈 것인가 하는 문제다. 스타트업이 큰 규모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로 성장하고 확장하는 과정에는 여러 중대한 도전들이 있다. 엄청나게 어려운 도전이긴 하지만, 이른바 행복한 고민이다. 많은 사람을 채용하는 동시에 초기 성공을 이어나가기 위해 새롭고 인접한 제품과 서비스를 어떻게 만들어 낼지 고민해야 한다. 동시에 핵심 비즈니스 또한 가능한 한 빠른 속도로 성장시켜야 한다. 성장 단계에서는 보통 25명에서 수백 명의 엔지니어로 구성이..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3. 제품/시장 궁합찾기

기술 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회사를 스타트업(Startup), 성장 단계(Growth-stage)의 기업, 대기업(enterprise companies)의 세 가지 단계로 정의한다. 각 단계의 특성과 PM이 되고자 하는 당신이 마주치게 될 도전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자. 나는 스타트업이란, '제품/시장 궁합(product/maket fit)을 아직 찾지 못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회사'라고 간략히 정의하고 싶다. 제품/시장 궁합은 너무도 중요한 개념이며, 기회가 된다면 자세히 한번 언급하도록 하겠다. 스타트업이란, '유효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제품을 찾기 위해 여전히 노력하고 있는 단계의 회사' 정도로 해두자. 스타트업에서 제품 관리자의 역할을 공동 창업자 중 한명이 대체로 맡게 된다. 일반적으로 25..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2. 기술 중심의 제품과 서비스

세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오로지 기술 중심의 제품에만 집중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내용 중 일부는 기술 제품이 아니어도 도움이 되겠지만, 확실히 그렇다고 말할 수는 없다. 솔직히 이야기하면 소비재 제품과 같은 비기술(non-tech) 제품 및 해당 제품의 관리자들을 위한 좋은 자료들은 이미 쉽게 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다. 이 블로그 카테고리(?)에서는 기술 중심의 제품,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 고유의 이슈와 도전들을 다루는 데 집중할 것이다. 소비자 제품들이 앞으로 쓰여질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제품의 좋은 사례이다. 그리고 공개 가능한 수준에서 내가 여태 군대에서 만들었던 서비스도 설명에 활용해보도록 하겠다.   기술 중심의 제품이라고 해서 순수하게 디지털이어여..

개발/etc 2024.07.20

[좋은 PM에 관하여] ep01. 훌륭한 제품을 이끄는 사람

내가 확신하고 있는 중심적인 개념이 있다. 바로 모든 훌륭한 제품 이면엔, 지칠 줄 모르고, 무대 뒤에서 최선을 다하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이다. 그 사람은 제품팀을 이끌며,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방향으로 기술과 디자인을 통해 고객의 실제 문제를 해결한다. 이런 사람들을 우리는 제품 관리자(Product Manager)라고 부른다. 이들은 스타트업의 공동 창업자나 대표일 수도 있다. 또한, 이미 다른 역할을 갖고 있지만 필요에 의해 선택된 사람일 수도 있다. 제품 관리자로서 임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디자이너, 엔지니어, 마케팅,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과는 매우 다르다. 오늘날 기술 제품을 만드는 팀에서 제품 관리자는 매우 특별하고 도전적인 책임을 지고 일을 한다. 이것은 너무도 어려운 역할이고, 다른 사람이..

개발/etc 2024.07.20

[Job Of Dev] PM(Product Manager)에 관하여

0. 개요오늘 소개할 직무는 아주 핫한 직무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전망고도 밝아서 프로덕트 매니저를 꿈꾸는 사람들도 많아지는 것 같다. 채용 사이트에서 JD를 읽다가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의 정의가 헷갈렸던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실제로 현업에서 겹치는 업무도 많고, 도메인마다 상황이 다른 만큼 PM 직무를 한 줄로 정의하고 서비스 기획자, 프로덕트 오너 등의 직무와 뚜렷하게 구분하긴 쉽지 않다. "똑같이 PM이면 같은 직무 아니냐? 그리고서비스 기획자는 뭔데?" 같은 질문이 나오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순리이다. 오늘은 기업에서 PM 직무는 어떻게 일하는지,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젝..

개발/etc 2024.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