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 네트워크] TCP/IP 4계층 1
1. 개념
TCP/IP(TC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을 포함한 대부분의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이다. TCP/IP는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이고 신뢰성있게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프로토콜)과 절차를 정의한다.
2. TCP/IP 4계층 - 네, 인, 전, 응
1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Network Interface Layer)
- 역할 :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주로 하드웨어 수준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이더넷, Wi-Fi 등의 기술이 이 계층에서 작동한다.
- 프로토콜 : 이더넷,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 등
- 기능 : 물리적인 전송 매체(예 : 케이블, 무선)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일을 담당한다.
- 실생활 예시 : 우체국의 역할이다. 우체국은 편지에 적힌 주소를 보고, 이 편지가 어떤 경로로 가야 하는지 결정하고, 다른 우체국으로 보내는 과정을 담당한다.
2계층)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역할 : 네트워크 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주로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식별하며, 패킷을 목적지로 라우팅한다.
- 프로토콜 : IPv4, IPv6, ICMP(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등
- 기능 :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과 전달, IP 주소 할당, 데이터 패킷의 재조립을 담당.
3계층) 전송계층(Transfer Layer)
- 역할 : 호스트 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수정, 데이터 재전송, 패킷의 순서 정리등을 수행한다.
- 프로토콜 :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등
- 기능 : TCP는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며,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한다. UDP는 속도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며, 데이터의 신뢰성보다는 빠른 전송이 중요할 때 사용된다.
4계층)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 역할 : 최종 사용자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과 프로토콜이 이 계층에서 동작한다.
- 프로토콜 : HTTP, FTP, SMTP, DNS, SSH 등
- 기능 : 네트워크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직접적으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전송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