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Job Of Dev] BA(Bussiness Analyst)에 관하여

정희명 2024. 5. 22. 23:30

1️⃣ BA(Business Analyst)란?

 
BA(Business Analyst)란 이름의 뜻에서 유추가 가능하듯, "비즈니스를 분석하는 사람"이다. 좀 더 디테일하게 가면 데이터를 활용해서 비즈니스 포로세스와 시스템을 문서화하고 비즈니스 모델과 투자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는 직무이다.
 
 
 

2️⃣ BA에게 필요한 역량

2️⃣.1️⃣ 악천후에서의 "항해사"

BA는 감에 의존하는 "루피"들을 "데이터"로 설득시켜야 한다.

 
BA가 하는 일을 비유하자면 대략 이렇다.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배에서 레이더와 날씨를 보고 선장에게 배가 가야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사람일 것이다. 가끔 악천후에서 선장이 "아~ 그냥 가도 돼~ 내가 뱃일 30년 했는데 지금 가도 아무 문제 없어~"라고 말할 때, 항해사는 지금 가면 우리 다 죽는다! 라는 데이터를 갖고 선장이 올바른 방향으로 배를 끌고 갈 수 있도록 설득해야 한다. BA란 "본인이 분석한 데이터를 갖고 사람을 설득하는 사람"이다.
 
 
 

2️⃣.2️⃣ 커뮤니케이션 능력

int보다 str로 해결하도록 하자.

 
내가 비즈니스 문제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유관부서나, 상위 부서에 협조 및 보고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에 사람을 설득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사실 직무를 막론하고 어디서든 커뮤니케이션 스킬은 중요하니, 잘 숙달시키도록 하자.
 
 
 

2️⃣.3️⃣ 물음표 살인마적 성향

 
딱히 정해져 있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왜(Why)?"를 자주 외치는 사람이면 좋지 않을까 싶다. 단순히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뽑아내는것만이 아니라,"우리 회사(or 팀)이 이 데이터를 보고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내가 뽑아낸 데이터나 인사이트가 올바른 데이터에 의해 표현된 것인가?" 등등등... 최상의 결과물을 찾아내기 위해 마치 좋아하는 사람에게 질문을 자꾸 던지는 "물음표 살인마적 성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4️⃣ 도메인 이해도

 
BA는 비즈니스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분석하고자 하는 산업 분야(=도메인)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비유를 하자면 내가 여태 "성수동"에서 옷장사를 하던 사람인데 칼국수 장사를 하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 우선 "칼국수"에 대한 이해부터 필요하다는 것이다.
 
 
 

2️⃣.5️⃣ 다양한 데이터 분석 툴 및 기술역량 보유

이것저것 많이 사용해보는게 중요하다.



 
 
BA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나 분석 툴 활용 능력이 요구된다. Google Analytics, SQL, Excel, Zepplin 등 데이터 분석 툴을 활용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단순하게 만들 줄 아는 역량이 요구될 것이다.
 
 
 

3️⃣ 결론

오늘은 원론적으로 BA(Bussiness Analyst)가 되려면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BA 말고도 데이터를 다루는 직무는 다양하다. DA, DS, DE 등등... 회사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대체로 데이터 분석 조직은 "서포트"에 중점이 잡힌 조직이다. 프로덕트 기획의 최전방에나서서 원하는 대로 의사결정을 하는것이 아닌 기획자 및 상위 의사결정자들이 필요로 하는 분석을 지원해주는 형태로 업무가 이루어진다. 
 
나는 아직 전통적인 조직에 속해있어서 의사결정권자들이 "데이터"보다는 "감"에 의존하는 것 같다. 하지만 미래는 사람의 직관보단 데이터로 수치화되는 세상이 올 것이기에 이 분야는 점점 더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지금의 이 관점마저 수치화 되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 싶다.